linux 40

linux - 기본II

압축, 아카이빙 압축 gzip/ gunzip bzip2 /bynzip2 압축 + 아카이빙 명령어 tar (잘안쓰임) zip/ unzip (잘안쓰임) 압축 관련 명령어 (gzip/gunzip 명령어) #gzip file1 #gunzip -c file1.gz(#zcat file1.gz) #gunzip file1.gz(#gzip -d gile1.gz) gzip/gunzip 명령어 (압축) # gzip file1 file1.gz (확인) # gunzip -c file1.gz (# zcat file1.gz) (해제) # gunzip file1.gz (# gzip -d file1.gz) 옵션 -S : 기본 생성 파일인 .gz 형태가 아닌 지정한 파일로 생성한다. -d : 압축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이는 unc..

linux 2020.12.07

centos8 vi 편집기

VI 편집기가 동작하는 원리를 보면 다음과 같이 버퍼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저장을 시키는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는 이상 디스크상에 파일의 내용이 저장되는 것은 아니다. (.swp 파일 제외) 명령어 형식 설명 $ vi 새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작업을 한후에는 반드시 파일이름을 지정하여 저장하여 주어야 한다. 예) : w filename (최하위행 모드) //다른이름으로 저장 $ vi filename filename 이름을 가진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편집하고 filename 이름을 가진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화면 상태가 된다. $ vi -R filename Readonly, 파일을 Readonly 상태로 열어준다. 중요한 파일,..

linux 2020.12.02

linux - 기본 I

ls -l file1 -rw-r--r-- 1 root root 1945 6월 11 14:13 file1 File Type: Permission Mode: chmod Link Count: ln Owner: chown Group: chgrp File Size: Mtime: touch -t File Name: mv chown 명령어 -c : 바뀌어지는 파일들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보여준다. -f : 바뀌어 지지 않는 파일들에 대해서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v : 작업 상태를 자세히 보여준다. -R :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 모두를 바꾼다. #chown user01 file1 #chown user01.other file1 #chown user01:other file1 #chown .other file1..

linux 2020.12.01

Centos - telnet 접속

[참고] Centos 5,6 에서 사용되된 명령어. # chkconfig --list 알림: 이 출력 결과에서는 SysV 서비스만을 보여주며 기존의 systemd 서비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SysV 설정 데이터는 기존의 systemd 설정에 의해 덮어쓰기될 수 있습니다. 'systemctl list-unit-files'를 사용하여 systemd 서비스를 나열합니다. 특정 대상에 활성화된 서비스를 확인하려면 'systemctl list-dependencies [target]'을 사용합니다. # dnf -y install telnet-server telnet # rpm -qa | grep telnet # systemctl restart telnet.socket # systemctl status tel..

linux 2020.11.30

linux - 기본

system runlevel type 0 - halt 시스템종료 1 - single user mode 싱글유저모드(시스템복구, 관리자 비밀번호 변경) 2 - multiuser 멀티유저가능(단 nfs 사용불가) 3 - full multiuser 멀티유저가능(모든 기능 사용 가능) 4 - unused 이후를 위해 예약된 번호 5 - full multiuser, graphical 그래픽모드를 지원하는 멀티유저 6 - reboot 재부팅 # runlevel //확인 # init 3 //tui (text ui mode)로 변경 # who -r //현재 runlevel 확인 # systemctl get-default // 모드확인 #systemctl set-default // 모드 설정 TUI 모드설정 init 3..

linux 2020.11.25

centos 8 - ssh 포트 변경

yum list | grep ssh //ssh 있는지 체크 yum install -y openssh-server openssh-clients //없으면 설치 vi /etc/ssh/sshd_config //ssh환경설정에 변경할 포트 넣기 port xxxx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xxxx/tcp //방화벽에 해당 포트 open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방화벽 list 포트 확인 systemctl status sshd.service //ssh 데몬 확인 systemctl reload sshd.service //ssh 데몬 restart "code=exited, status=255" 에러 확인 시 ..

linux 2020.11.24

linux - 성능 모니터링

# free //메모리 사용률 # free -s 3 //3초마다 나옴 # watch free #watch -n 1 -d free //-n 시간 설정 , -d 변화 부분 # pstree 실행중인 프로세스 상태를 트리 구조로 뵤여줌 # pstree [process 사용자id] //조회 가능 # top cpu 점유 프로세스들 실시간 조회 명령어 1. 시스템 uptime, 사용자, 로드상태 2. task 프로세스 상황 3. cpu 4. mem 상황 5. swap 메모리 상황 pid 프로세스 우선순위 user :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id pr: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ni:nice값,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다. virt 가상메모리의 사용량(swap+res) res: 현재 페이지가 ..

linux 2020.11.24